전체 글113 영화 '기생충' 제목 해석과 토론주제 및 느낀 점 제목 해석먼저 영화의 제목인 '기생충'을 해석하기 위해 한자로 '기생충'의 의미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생충의 '기'는 '기대하다, 붙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은 '살다 생'으로 '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충'은 '벌레충'으로 벌레를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따라서 '기생충'은 다른 생물에게 붙어사는 벌레 즉 곤충을 말하고 있습니다. 기생충의 종류에는 내부 기생충과 외부 기생충 두 가지가 있습니다. 내부 기생충은 생물의 내부에서 살아가는 기생충을 말하고 그 예시로 회충도 내부 기생충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숙주의 영향분을 빨아들이며 생존을 하고 때로는 숙주에게 해를 끼치기도 합니다. 외부 기생은 생물의 외부에 붙어서 살아가는 벌레를 의미합니다. 예시로 벼룩이나 진드기 등이 있는.. 2025. 2. 8. 영화 '보고타' 정보와 등장인물 및 느낀 점 영화 '보고타' 관련 정보영화 '보고타'는 지구 반대편 콜롬비아를 배경으로 촬영되었습니다. 한국에서 비행기로 최소 20시간 뒤에 만날 수 있는 낯설고 생소한 땅입니다. 한국영화에서 보기 드물게 콜롬비아를 배경으로 촬영되었습니다.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살고 있는 이 나라는 뜨거운 태양만큼이나 사람들의 욕망을 불태우고 있습니다. 1997년 IMF로 모든 것을 잃은 국희(송중기)의 가족들이 한국에서 더 이상 희망을 찾을 수 없게 되자 마지막 기회의 땅,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로 향합니다. 이들이 보고타로 향한 이유는 베트남 전쟁에 참여했던 국희의 아버지 전우였던 박병장이 한인상인회의 권력을 쥐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콜롬비아 현지에서 국희 아버지와 어머니는 적응을 잘하지 못하는 등 무기.. 2025. 2. 7. 영화 '드림' 실화 모티브와 토론주제 및 느낀 점 실화 모티브영화 '드림'은 2010년에 있었던 대한민국의 첫 홈리스 월드컵 모티보로 제작되었습니다. 참고로 Homeless는 말 그대로 집이 없는 사람, 즉 노숙자를 뜻하는 말입니다. 집이 없는 노숙자들이 축구를 통해 자립 의지를 키우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003년에 시작된 이 대회는 전 세계 약 50개국에서 500여 명의 홈리가 참여하여 '축구를 통한 노숙자 문제 해결'이라는 슬로건 아래 매년 개최되는 대회입니다. 2003년 오스트리아 그리츠에서 처음 열린 홈리스 월드컵은 11명의 선수가 뛰는 정식 축구와 달리 5명 안팎의 선수로 구성해 전후반 각각 14분의 풋살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우리나라는 2010년 브라질 리우 경기에 처음 참가하였는데 영화 '드림'의 모티브가 되었.. 2025. 2. 7. 영화 '아마존 활명수' 모티브와 토론주제 및 느낀 점 모티브영화 '아마존 활명수'는 김창주 감독의 다큐 '아마존의 눈물'이 모티브가 되었다고 합니다. 아마존의 눈물은 2009년~2010년에 걸쳐 5부작으로 방송된 MBC 화제의 다큐입니다. 마지막 원시의 땅 아마존에서 원시인들의 원초적인 생명력과 역동적인 에너지를 담은 다큐 블록버스터로 시청률 20%를 돌파하며 연일 화제를 모았습니다. 감독은 배세영 작가님이 과거 인기가 많았던 다큐 '아마존의 눈물'을 보시다가 이 소재를 활용해서 이야기를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합니다. 영화 제작 보고회 때 "영화 제목을 왜 아마존 활명수라고 했어요." 여쭈어 보니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가스 활명수처럼 소화제와 같은 의미는 아니라고 합니다. 아마존에 살고 있는 명궁, 활을 정말 잘 쏜다는 의미를 뜻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2025. 2. 6. 영화 '소풍' 모티브와 토론주제 및 느낀 점 모티브영화 '소풍'은 참 특별한 영화입니다. 영화의 주인공 나문희의 팬이 나문희를 떠올리며 쓴 소설 형식의 글이 소속사에 전달되었고, 이후 시나리오 작업을 거쳐 지금의 '소풍'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 먼저는 나문희, 김영옥 선생님이 이 작품을 먼저 하시기로 하였고, 감독 섭외과정에서 김용균 감독이 섭외되었다고 합니다. 노인이 주인공인 영화는 일반 영화와 달리 투자받기가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젊은 배우들을 주인공으로 함께 넣어 기획을 합니다. 원로 배우와 인기 있는 젊은 배우, 이렇게 투톱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영화 제작 방법입니다. 그러니 젊은 사람 위주로 시점이 잡히게 되고, 어르신들은 조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소풍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영화 '소풍'은 80.. 2025. 2. 5. 영화 '탈주' 모티브와 토론주제 및 느낀 점 모티브 영화 '탈주'는 2012년에 발생한 탈북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북한 군대에서의 억압적인 환경과 개인의 자유를 찾으려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배우 이제훈이 연기한 영화 '탈주'의 실제 주인공은 2012년 휴전선 철책을 넘어 탈북한 정하늘(30)씨입니다. 정하늘 씨는 1994년 함흥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군대 입대 하였습니다. 2012년 김정일 사망 직후이며 김정은 집권 첫해에 탈출한 것입니다. 정하늘 씨는 군복무를 시작하고 1년 5개월 만에 휴전선을 넘었다고 하였는데 탈출 당시 김하늘 씨는 18세였습니다. 탈북을 결심하게 만든 이유는 조국 통일을 약속했던 김정일이 죽고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김정일이 죽고 나서 남한에서 날려 보낸 대북전단을 보.. 2025. 2. 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다음